최종편집 : 2023-12-11 19:35 (월)
제주항공, 엔데믹 시장 선도하며 빠르게 회복
상태바
제주항공, 엔데믹 시장 선도하며 빠르게 회복
  • 최연수 기자
  • 승인 2023.11.20 08: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9년 10월 국제선 수송 실적 완전 회복…지난해 10월 比 232% 증가
선제적인 일본·동남아 노선 복항 주효, 신규취항 등 노선다변화 지속
제주항공 항공기
▲ 제주항공 항공기

[한국공정일보=최연수 기자] 제주항공(대표이사 김이배)이 코로나19의 후유증을 털어내며 정상화 궤도에 들어섰다. 지난해 10월1일 입국 후 하루 이내 PCR(유전자 증폭) 검사 의무가 해제되는 등 실질적인 방역 완화 조치가 시행된 지 만 1년만에 2019년 10월 대비 103%의 회복률을 보이며 코로나19 이전 수송 실적을 회복한 것.

▲ 자료제공=제주항공
▲ 자료제공=제주항공

방역조치 완화가 시작된 지난해 10월 기준 제주항공의 국제선 운항편은 1312편, 공급석은 24만5934석, 수송객은 20만4732명에 불과했으나 1년만인 올해 10월 기준 제주항공의 국제선 운항편은 4196편, 공급석은 79만1304석, 수송객은 68만1187명으로 전년대비 각각 219.8%, 221.8%, 232.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10월대비 국제선 운항편은 98.5%, 공급석 98.4%, 수송객 수는 103%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이처럼 제주항공이 코로나19 후유증을 털어내고 빠르게 회복할 수 있었던 것은 효율적인 기재 운영과 중단거리 노선 위주의 선제적이고 탄력적인 노선 운영 전략 때문이다.

제주항공은 일본지역을 중심으로 코로나19 이전 운항했던 중단거리 노선의 빠른 회복에 집중했다. 지난해 10월 김포~오사카, 인천~삿포로 노선 재운항을 시작으로 11월 인천~나고야, 오키나와 노선에 재운항을 시작하며 빠르게 일본 노선의 공급을 늘려왔다. 그 결과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국적 항공사의 일본 노선 수송객수 1397만5476명 중 20.8%인 290만9401명을 수송하며 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 했다.

자료제공=제주항공
▲ 자료제공=제주항공

일본 노선 외에도 괌·사이판과 필리핀 노선에서도 높은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국토교통부 항공정보포털시스템 실시간 통계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국적 항공사의 괌·사이판 노선 전체 수송객수는 97만3456명으로 이 중 37만798명을 제주항공이 수송해 38.1%의 압도적인 점유율을 기록하며 해당 노선 절대적 강자의 면모를 보였다. 또 필리핀 노선에서도 전체 223만3896명 중 29%인 64만6716명을 수송해 국적항공사 중 1위를 차지했다.

제주항공은 본격적인 엔데믹 시장 선도를 위해 ‘노선 다변화’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코로나19 이전 이색적인 일본 여행을 가능하게 했던 마쓰야마, 시즈오카 등의 소도시 노선을 확대해 오이타, 히로시마에 신규 취항하고, 제주~마카오·베이징, 부산~울란바토르·보홀 등 지방 노선을 확대하는 한편 오는 12월부터는 인천~달랏 노선에 신규 취항해 다양한 여행 경험을 선사할 계획이다.

제주항공의 중단거리 중심 노선 다변화 전략은 글로벌 항공산업의 시장 흐름에도 부합한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인 리서치앤마켓이 지난 10월 발표한 바에 따르면 엔데믹 이후 LCC(Low Cost Carrier, 저비용항공사) 중심으로 항공산업 회복세가 강해지면서 전 세계 LCC 시장 규모가 2023년 1891억 달러에서 2028년 3154억 달러로 연평균 8.7%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소도시 간 연결성을 높여 짧은 일정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싶은 비즈니스 여행객도 LCC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시장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다양한 노선과 운항스케줄로 소비자 선택권을 확대하고 있다”며 “엔데믹 시장을 선도하는 항공사로서 No.1 LCC 지위를 더욱 견고하게 다져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