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4-04-28 20:00 (일)
[류태영 칼럼] 이스라엘민족의 교육 2
상태바
[류태영 칼럼] 이스라엘민족의 교육 2
  • 류태영 박사
  • 승인 2015.02.04 22: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글. 류태영 박사/건국대학교 졸업/한국성서대학교 졸업/덴마크노르딕농과대 수료/이스라엘 예루살렘히브리대학교대학원수학(사회학석사 및 사회학 박사학위 취득)/대통령비서실 초대새마을담당 역임/이스라엘 벤구리온대학교 교수 역임/한민족문화연구원장, 박물관장, 아태연구소장 역임/한국농촌사회학회 회장/아시아농촌사회학회 회장/도산아카데미연구원 원장/(재)농촌·청소년미래재단이사장/건국대학교 사범대학 명예교수]
<교육제도>

이스라엘의 교육제도는 독특하여 유아교육부터 영재교육을 실시하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 놓고 있다.

만세살이 되면 모든 어린이들이 국공립교육기관에서 교육을 받게 되며 세살때 가는 학교를「간」이라 한다.「간」이라는 낱말의 뜻은 정원, 공원이라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구미 각국의 킨더가튼(Kindergarten) 이라는 말과 비슷하다.「간」이라는 유아원은 마을 가운데 2백여 세대마다 1개소씩 세워져 있으며 대개 1반 또는 2반 정도가 평균적인 규모이다. 한반에 수용된 인원은 10명에서 15명 정도로 이상적인 어린이반이 편성되어 있다.

네살이 되면「크담호바」라는 유아원에 진학한다.「크담호바」는 의무교육전 유아교육기관으로 역시「간」과 비슷한 교육시설을 가지고 있으며 큰 것은 4~5반 정도 규모의 것도 있다.

다섯살이 되면 의무유아교육기관에 보내어 교육을 시킨다. 다섯살때 가는 학교를「간호바」라 한다.「간호바」부터 강제성을 띤 의무교육이 시작되어 어린이들이 1백% 취학하게 된다. 역시 학교는 마을 중심부에 1~2반 내지 4~5반 규모의 작은 학교시설을 가지고 있다.

여섯살이 되면「베일하쎄펄아마밑」이라는 학교에 가게 된다. 초등학교라는 뜻을 가진 보통교육기관이다. 초등학교도 대부분 소규모 학교로 농촌에는 3~4마을당 1개교 정도로 설립되었고, 도시에도 도보로 5분 내외의 거리에 설치되었으며 평균 학급수는 9학급 내지 18학급으로 되어있다. 초등학교는 8년간으로 되어 우리나라의 중학교를 흡수하고 있다. 그러니까 한 학년당 2~3학급이 큰 규모의 학교인 셈이다. 학급당 아동수도 최고 30명을 정원으로 정하여 2명만 넘어도 분반하게 되어있다.

만 14세가 되면「틱혼」이라는 중등학교(우리나라 인문계 고등학교와 비슷)에서 교육을 받게 되는데「틱혼」은 초등학교와는 달리 큰 규모로 20~30학급씩 편성되었고 농촌에는 8~10개 마을마다 설립되어 있다. 역시 학급당 학생수는 30명 정원이고 틱혼부터는 학생복을 입게 되는데 상의만 제복을 입고 학교마다 제복의 모양과 색깔이 다르다.

18세가 되면 남자나 여자 모두 의무적으로 군에 입대하게 되고, 제대하고 나서 대학에 입학하게 된다. 남자는 3년, 여자는 2년간의 군복무 기간을 마친 후 대학에 들어가게 되는데 입대 전 대학에 진학한 학생들도 있다. 이들은 군에 장기복무를 희망하는 자들로 군의 장학금으로 대학을 마치게 되는데 그 수효가 적지않다.

대학입학은 고등학교를 졸업할 때 대학입학자격시험을 치루어 합격한 사람만이 대학입학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대학입학시험에 떨어진 학생은 대부분 모든 대학이 이들을 대상으로 선발하는 대학 예과생으로 입학, 8개월 동안의 교육을 받는다. 이때 교육과정은 우리나라 대학입시 재수학원처럼 고등학교의 중요과목과 우리나라 대학의 교양과목 등이 설강되어 그 과정에서 80점 이상의 학점을 취득하게 되면 그 대학 1학년에 정원외 입학을 하게 된다. 이스라엘대학은 정부에서 정한 정원이라는 것이 따로 없고 학교에서 수용능력과 교수 및 실습형편에 따라 결정하게 된다.

초등학교 6학년이 되면 진학반과 졸업반으로 구별하여 진학반은 인문계 중학교과정을 교육하여「틱혼」이라는 중등학교에 진학하게 되고, 졸업반은 기술중학교 교과과정을 배우게 하여 고등기술학교에 진학하거나 바로 사회에 진출하도록 하고 있다. 고등기술학교를 졸업한 학생은 사회에 진출하거나 전문대학에 진학하게 된다.

이스라엘에서 특기할만한 교육의 제도적 장치로는 농과대학과 교원대학을 들 수 있다. 농과대학은 실제 농사경험이 없는 사람은 입학원서를 낼 자격이 없다. 그러므로 반드시 농촌에서 농사경험이 1년 내지 2년간 있어야만 입학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농업전문학교 또는 농업학교를 졸업해야 한다.

교원대학은 초등계와 중등계로 나누어져 초등계는 고등학교 졸업후 2년, 중등교원은 3년을 수학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대학은 3학년제로 되어있고 우리나라에서 대학교 1학년때 필하는 교양과목은 고등학교에서 이수하게 된다. 그러므로 교원대학도 일반대학과 마찬가지로 3년으로 되어 있으나 교과과정이 집약적으로 짜여져 이수하는 학과목 시간이 일반대학보다 많은 편이다. 또 하나는 우리나라의 교직과정 이수자에게 교원자격을 주는 것과 비슷한 제도가 있는데 이것은 대학을 졸업한 후 교육과정 등 8학점을 추가등록하여 취득하면 교원자격을 주는 경우도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