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4-04-27 21:53 (토)
[공정 부동산] 수도권 아파트 시황, 비수기에 수요 부재...서울 2주 연속 보합
상태바
[공정 부동산] 수도권 아파트 시황, 비수기에 수요 부재...서울 2주 연속 보합
  • 정진욱 기자
  • 승인 2023.12.15 13: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말 효과에 계절적 비수기까지 겹치며 수요 감소
전세 가격 움직임도 제한되며 하반기 오름폭 소화 중
▲ 서울 시내 아파트 모습(DB)
▲ 서울 시내 아파트 모습(DB)

[한국공정일보=정진욱 기자] 12월 둘째 주 서울 아파트값 변동률은 2주연속 보합(0.00%) 수준에서 제자리 걸음을 했다. 서울과 신도시, 경기ㆍ인천 모두 동일한 양상이다. 연말 효과로 수요층 움직임이 제한된 가운데, 계절적 비수기와 부정적 시장 인식 등이 겹친 모양새다. 시장 내 매물이 쌓여가는 가운데 매도자와 매수자 사이의 가격 간극은 더 커진 분위기다. 2023년이 2주가량 남아있는 상황에서 한 해를 정리하는 시기에 진입한 만큼 당분간 ‘정중동’ 흐름을 이어갈 전망이다.

12월 서울지역 시세 조사 과정에서 100건 이상 반복적으로 노출된 키워드는 #전세(463건) #변동(281건) #가격(186건) #거래(125건) 등이다. 전세시장에 대한 수요층 집중도가 높은 상황이라고 평가된다. 그 외 시장 동향 및 현장에서의 움직임과 관련된 키워드는 #거래절벽(33건) #보합(23건) #한산함(15건) #금리인상(14건) #수요감소(14건) #간헐적거래(10건) 등으로 연말 효과와 더불어 계절적 비수기에 따른 수요층 거래위축 움직임들이 주요 키워드에서도 감지된다.

▲ 매매가격 이미지. 자료제공=부동산R114
▲ 매매가격 이미지. 자료제공=부동산R114

◆ 매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2주 연속 보합(0.00%)을 나타냈다. 매수문의가 전반적으로 줄면서 재건축과 일반 아파트 모두에서 별다른 움직임은 없었다. 서울 지역과 달리 신도시와 경기·인천은 0.01% 내렸다.

서울 개별지역 대부분이 보합(0.00%)을 나타낸 가운데 중저가 지역 위주로 가격이 빠진 반면 일부 고가 지역은 상승했다. 지역별로 ▼강북(-0.03%) ▼영등포(-0.03%) ▼강서(-0.02%) ▼도봉(-0.02%) ▼노원(-0.01%) ▼중구(-0.01%) 등이 하락한 반면 △강동(0.02%) △용산(0.01%) 등은 올랐다. 신도시 개별지역은 1기 신도시에 특별법 통과 호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하락세를 이어갔다. ▼산본(-0.03%) ▼분당(-0.02%) 등이 약세를 이끌었다. 경기ㆍ인천 개별지역은 외곽지에서 하락 전환한 곳들이 늘었다. ▼이천(-0.09%) ▼파주(-0.07%) ▼인천(-0.04%) ▼구리(-0.03%) ▼평택(-0.03%) 순으로 떨어졌다.

▲ 전세가격 이미지. 자료제공=부동산R114
▲ 전세가격 이미지. 자료제공=부동산R114

◆ 전세

전세시장은 계절적 비수기에 수요층 움직임이 뜸해졌지만 정주여건이 양호한 지역 위주로는 문의가 이어졌다. 서울과 신도시는 보합(0.00%) 수준에서 움직였고, 경기·인천은 0.01% 떨어졌다.

서울 개별지역은 △강서(0.05%) △양천(0.04%) △도봉(0.03%) 등이 상승한 반면, ▼중구(-0.07%) ▼용산(-0.04%) 등은 하락했다. 신도시 개별지역은 대부분이 보합(0.00%)인 가운데 일산이 0.02% 떨어졌다. 경기ㆍ인천 개별지역은 상승지역이 2곳 수준으로 적었고 하락지역이 더 많았다. ▼이천(-0.06%) ▼인천(-0.05%) ▼안산(-0.04%) ▼파주(-0.04%) 등에서 전셋값이 두드러지게 빠졌다.

서울 워드클라우드 이미지. 자료제공=부동산R114
▲ 서울 워드클라우드 이미지. 자료제공=부동산R114

◆ 종합 의견

윤지해 수석연구원은 "미국 연준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3회 연속으로 동결한 가운데 2024년 중 금리 인하 가능성을 내비쳤다"며 "이에 국내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금리 하단이 3%후반~4%초반 수준까지 내려오는 등 수요층 불안감을 키우던 금리 인상 이슈는 일단락된 분위기"라고 지적했다. 윤 수석연구원은 이어 "다만 연말과 비수기 영향으로 수요층 움직임이 제한된 가운데, 가계부채 증가세에 따른 정책금융 축소와 기존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제도를 더 강화한 스트레스DSR 제도가 도입될 예정인 만큼 전반적인 위축 경향은 당분간 더 이어질 전망이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