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4-04-28 15:56 (일)
[부동산 TOK] 서울 아파트 매매·전세 상승폭 동반 축소...안정화 전조극?
상태바
[부동산 TOK] 서울 아파트 매매·전세 상승폭 동반 축소...안정화 전조극?
  • 정진욱 기자
  • 승인 2021.12.17 19: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 아파트 매매는 4주 연속, 전세는 2주 연속 오름폭 둔화
상승세 견인했던 서울 외곽지역, 매물 쌓이며 매수세 더 위축
▲ 서울 아파트값은 0.05% 올라 4주 연속 상승폭이 줄었다.
▲ 서울 아파트값은 0.05% 올라 4주 연속 상승폭이 줄었다.

[한국공정일보=정진욱 기자]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이 4주 연속 둔화됐다. 금천, 강서, 구로 등은 지난주 보다 가격 오름폭이 크게 줄었다. 여신 축소와 기준 금리 인상 등 금융 규제 강화 여파로 그간 집값 상승세를 견인했던 외곽지역의 매수세가 더 위축되고 매물도 늘어나는 상황이다.

오는 23일 2022년도 공시가격(단독주택) 공개를 앞두고 있어 주택 시장은 더 냉각될 것으로 보인다. 올해 단독주택 공시가격은 전국 6.68%, 서울은 10.13% 올랐다. 내년 초 공개될 공동주택 공시가격은 더 오를 가능성이 있다. 서울 아파트값은 2년간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했고 공시가격 현실화율 로드맵에 따른 인상분이 더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R114에 따르면 금주 서울 아파트값은 0.05% 올라 4주 연속 상승폭이 줄었다. 재건축이 0.05%, 일반 아파트는 0.05% 상승했다. 이밖에 신도시가 0.02%, 경기ㆍ인천이 0.04% 올랐다.

전세시장은 겨울 비수기로 수요가 줄면서 서울이 0.04% 상승했지만 2주 연속 오름폭이 축소됐다. 신도시가 0.03%, 경기ㆍ인천이 0.04% 올랐다.

◆ 매매

서울은 중저가 아파트가 몰린 외곽 지역의 오름폭이 더 축소됐지만 여전히 높은 상승률을 나타내고 있다. 지역별로는 △관악(0.16%) △강북(0.12%) △강남(0.07%) △강서(0.07%) △광진(0.07%) △마포(0.07%) △송파(0.07%) △구로(0.06%) △성북(0.06%) 등이 상승했다. 

신도시는 △김포한강(0.09%) △일산(0.05%) △산본(0.05%) △분당(0.04%) △평촌(0.03%) △중동(0.03%)이 올랐다. 반면, 거래가 줄고 매물이 쌓이고 있는 ▼동탄(-0.03%)은 금주 하락했다.

경기ㆍ인천은 △부천(0.08%) △성남(0.08%) △의정부(0.08%) △수원(0.07%) △용인(0.07%) △의왕(0.07%) △양주(0.07%) △김포(0.06%) △남양주(0.06%) △오산(0.06%) 등이 올랐다. 

◆ 전세

서울은 겨울 비수기에 계약갱신 등의 영향으로 수요가 줄면서 상승세가 둔화됐다. 지역별로는 △강북(0.11%) △노원(0.11%) △은평(0.10%) △강남(0.07%) △광진(0.07%) △중랑(0.07%) △강동(0.05%) △동작(0.05%) △관악(0.04%) △구로(0.04%) △성북(0.04%) △종로(0.04%) 등이 상승했다. 

신도시는 △김포한강(0.11%) △일산(0.08%) △동탄(0.08%) △산본(0.02%) △평촌(0.02%) △분당(0.01%)이올랐다. 반면, 위례는 수요가 줄어드는 가운데 아파트 입주가 꾸준히 이어지면서 금주 0.02% 하락했다.

경기ㆍ인천은 △의정부(0.18%) △수원(0.08%) △용인(0.08%) △남양주(0.08%) △의왕(0.07%) △김포(0.07%) △평택(0.07%) △광명(0.07%) △파주(0.05%) △고양(0.05%) 등이 상승했다. 반면, 화성은 4분기 4500여 가구 입주 영향으로 금주 0.02% 떨어졌다.

단기 급등에 따른 피로감과 금융 규제와 금리 인상, 보유세 부담 증가 등이 맞물리면서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이 4주 연속 둔화됐다. 그간 가격 상승을 주도했던 서울 외곽지역도 대출 규제 강화 등의 영향으로 매물이 증가하는 등 시장이 급속히 냉각되는 분위기다. 오는 23일 공시가격 공개를 앞두고 있어 매수세는 더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주택 공급 우려가 여전하고 단기간 내 주택 공급 확대도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상황이다. 특히 서울은 2022년 아파트 입주 물량이 2만여 가구로 올해보다 35% 이상 줄어든다. 내년 대선을 앞두고 부동산 정책의 불확실성 커지는 분위기다.

부동산 관계자는 "거대 양당 후보 모두 보유세와 양도소득세 등 세금 완화 정책을 내세우고 있고 공시가격 속도 조절론도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내년 초 DSR 2단계 조기 시행과 기준 금리 추가 인상 등이 집값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주택 공급 감소와 대선 이슈(정책 변화), 새 임대차법 영향(계약갱신청구권 이슈) 등은 집값을 다시 자극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