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4-04-28 20:00 (일)
[부동산 TOK] 서울 아파트 매매-전세 동반 상승
상태바
[부동산 TOK] 서울 아파트 매매-전세 동반 상승
  • 정진욱 기자
  • 승인 2022.05.04 22: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재건축 상승폭 확대에 힘입어 서울 매매 0.03% ↑
서울 전세, 14주(1/21주, 0.01%) 만에 상승 전환
▲ 금주 서울 아파트값은 강남권 재건축 위주로 강세가 이어지면서 전주 대비 오름폭을 확대했다.
▲ 금주 서울 아파트값은 강남권 재건축 위주로 강세가 이어지면서 전주 대비 오름폭을 확대했다.

[한국공정일보=정진욱 기자] 금주 서울 아파트값은 강남권 재건축 위주로 강세가 이어지면서 전주 대비 오름폭을 확대했다. 1기 신도시도 재건축 추진 기대감이 확산하면서 지난해 11월 말(11/19, 0.07%) 이후 23주 만에 가장 높은 주간 매매가격 변동률(0.06%)을 기록했다.

이러한 가운데 새 정부는 국정과제를 통해 정비사업 관련 제도를 합리적으로 조정하고 1기 신도시 특별법을 조속히 제정해 주택 공급의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수도권에서는 재건축을 추진하거나 준공 30년을 초과해 재건축 연한을 채운 아파트가 상승세를 견인하는 흐름이 한동안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금주 서울 아파트값은 0.03% 상승했다. 재건축이 0.08% 올라 올해 들어 가장 높은 변동률을 기록했고, 일반 아파트는 0.01% 올랐다. 신도시는 0.03% 상승한 반면, 경기ㆍ인천은 0.01% 떨어졌다.

전세시장은 서울이 0.01% 올라 14주 만에 플러스로 전환됐다. 신도시와 경기ㆍ인천도 각각 0.01% 올랐다.

◆ 매매

서울은 강남권 재건축과 대규모 단지 위주로 올랐다. 지역별로는 △송파(0.09%) △동작(0.05%) △강남(0.04%) △구로(0.04%) △강서(0.03%) 등이 상승했다. 반면 ▼관악(-0.05%) ▼서대문(-0.02%) 등은 하락했다.

신도시는 재건축 추진 기대감이 커진 1기 신도시가 대선 이후 상승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지역별로는 △분당(0.13%) △중동(0.06%) △파주운정(0.05%) △일산(0.02%)이 올랐다. 한편 2기 신도시인 ▼판교(-0.02%)는 하락했다.

경기ㆍ인천은 △파주(0.05%) △남양주(0.02%) △시흥(0.02%) △이천(0.02%) △김포(0.01%) △안양(0.01%) 등이 올랐다. 반면 ▼의왕(-0.07%) ▼용인(-0.05%) ▼수원(-0.04%) ▼인천(-0.03%) 등은 대규모 단지 위주로 하락했다. 

◆ 전세

서울은 급매물이 대부분 소진된 후 상승 전환됐다. 지역별로는 △동작(0.08%) △서초(0.05%) △노원(0.04%) △서대문(0.04%) △구로(0.03%) 등이 올랐다. 한편 ▼관악(-0.14%) ▼종로(-0.12%) ▼금천(-0.06%) 등은 떨어졌다. 관악은 봉천동 관악현대, 벽산블루밍 관악우성 등이 500만원-2,500만원 내렸다.

신도시는 △분당(0.03%) △일산(0.02%) △평촌(0.02%) △중동(0.01%) 등 1기 신도시가 올랐고, 이외 지역은 보합(0.00%)을 나타냈다. 

경기ㆍ인천은 외곽지역 중심으로 올랐다. 지역별로는 △동두천(0.10%) △용인(0.06%) △평택(0.06%) △파주(0.05%) △김포(0.04%) △남양주(0.03%) 등이 오른 반면 ▼의왕(-0.07%) ▼인천(-0.04%)은 떨어졌다. 

윤석열 정부는 주택공급 확대와 시장 기능 회복을 새 정부 부동산 정책의 핵심으로 제시했다. 세제 정상화를 위해 다주택자에 대한 양도세와 취득세 중과 완화, 종부세 개편이 추진되고, 생애최초 주택 매수 시 LTV(주택담보대출비율)가 80%까지 완화될 계획이다.

부동산 전문가는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규제가 유지되고, 높은 집값에 따른 이자 부담 등으로 실수요의 주택 매수세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긴 어려워 보인다"며 "이에 재건축 발 아파트값 상승세가 한동안 지속되는 가운데 거래량은 소폭 증가에 그칠 전망"이라고 말했다. 이어 "서울 전세시장은 그간 누적됐던 매물이 소진되면서 상승 전환됐다. 8월 계약갱신청구권 만료를 앞두고 일부 집주인들이 매물을 거두거나 호가를 높이는 분위기고, 전세로 풀릴 수 있는 신규 입주 물량마저 적어 수급불균형에 따른 상승폭 확대 가능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