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4-04-27 21:53 (토)
[자동차 칼럼] 대통령 직속 미래 모빌리티 위원회의 조속한 구성이 필요하다
상태바
[자동차 칼럼] 대통령 직속 미래 모빌리티 위원회의 조속한 구성이 필요하다
  • 김필수 칼럼니스트
  • 승인 2023.10.22 19: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필수 대림대학교 교수
▲ 김필수 대림대학교 교수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변화가 글로벌 주요 국가의 주도권 싸움은 심각할 정도로 커지고 있다. 이미 내연기관차에서 전기차 등 미래 모빌리티로 확산 개편되면서 글로벌 주도권을 싸움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전기차, 배터리, 자율주행기술, 커넥티드 기술, 차량용 반도체 등 어느 하나 소홀히 할 수 없는 국가 경쟁력 요소다. 특히 미래 모빌리티는 단순한 전기차 수준에서 도심형 항공모빌리티(UAM), 로보빌리티(Robobility) 등 다양한 요소로 확대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현대차 그룹 중심으로 어려운 경제상황 속에서 유일하게 자동차 분야가 고군분투하면서 싸우고 있는 형국이다. 특히 미중 간의 경제 갈등이나 양진영의 신냉전 구도가 커지면서 글로벌 경제 위축도 고민되는 상황이다.

중국은 강력한 독점적 자원을 무기로 갈륨과 게르마늄 수출 통제는 물론 최근에는 배터리의 기본 원료인 흑연의 수출도 통제하여 심각한 왜곡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당연히 해외 수입다변화 등 체계적인 국가 차원의 대책이 종합적으로 요구된다.

우리는 FTA 등 국제 사회를 통한 무역거래가 유일한 생존 통로인 만큼 현재의 자국 우선주의 등은 심각한 어려움으로 나타날 것이다. 정부의 역할이 더욱 그래서 중요하다. 산학연관의 시너지 효과 중 가장 중심이 되고 이끌어야 하는 영역이 바로 정부이기 때문이다. 

현재 미래 모빌리티에 대한 정부의 역할은 한정적이고 국한되어 있는 형국이다. 환경부, 국토교통부, 산업통산자원부 등 역할이 나누어져 있고 시너지는커녕 격벽이 크게 존재한다. 그러나 막상 정부조직은 수십 년의 같은 구조와 낙후된 시스템으로 시너지는커녕 일선 기업체에 도움이 거의 되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획기적인 개편이 요구되는 시기라 할 수 있다.

대통령 선거 때마다 필자는 여야 양쪽에 정부 조직 개편 중 가칭 '미래 모빌리티부'를 창설하라고 언급하곤 한다. 국토교통부는 국토주택부 등 부동산 전문 조직으로 나누고 교통은 산업통산자원부와 환경부 등의 조직은 묶어서 가칭 '미래 모빌리티부'를 구성하자는 것이다. 전문성 있는 누가 들어도 좋은 아이디어라고 하고 있으나 어느 누구도 감히 덤벼들어 개편하지 못하고 있다. 

그렇다면 당장은 아니어도 큰 그림은 놔두고 우선적으로 이러한 각계의 조직과 역할을 조율하고 컨트롤 할 수 있는 대통령 직속 가칭 '미래 모빌리티 위원회'를 두는 것이 필요하다. ‘컨트롤 타워’하면 부정적인 시각이 크다고 판단하면 그냥 ‘코디네이터’ 라는 조직으로 조율하는 역할을 하는 것도 좋다고 판단된다. 

기존 대통령 직속 위원회의 단순한 자문으로 끝나는 형태가 아닌 자문 이상의 실행적인 역할이 중요하다. 또한 일상화된 국내 제도적 규제를 풀기 위하여 도입한 규제 샌드박스 이상의 효과가 있는 위원회가 되어야 일선에서 도움이 될 것이다. 타국 대비 초격차 기술을 개발 보유하고 이를 기반으로 일선에서 글로벌 시장에 통할 수 있는 무기를 실질적으로 구성해주는 역할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속히 이러한 위원회의 구성을 촉구하면서 더욱 치열해지고 있는 미레 모빌리티의 주도권을 우리가 쥐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